본문 바로가기
알짜배기 생활 정보

K패스 교통카드 혜택 및 신청, 발급, 전환 방법

by 원프로플러스 2024. 4. 23.

4월 24일부터 K-패스 카드 발급을 시작합니다. 카드사는 국민, 농협, BC(BC바로·광주은행·IBK기업은행·케이뱅크),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DGB유페이, 이동의 즐거움(모바일 이즐·카카오페이 모바일교통카드) 등입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대상)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K패스

1. K패스 혜택 조건

 1) 기존의 알뜰교통카드가 K패스로 전환됨에 따라 알뜰교통카드 회원 전환 또는 K-패스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 중인 이용자는 추가 카드 발급이나 회원가입 없이 알뜰카드 앱 또는 누리집(alcard.kr)에서 간단한 회원 전환 절차(알뜰카드 → K-패스)*를 거쳐 계속해서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신규 가입자는 5월 1일 출시되는 K-패스 앱 또는 누리집(korea-pass.kr)에서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거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 전환 절차나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카드를 발급받아도 K-패스 혜택이 바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K-패스 혜택은 회원 전환 또는 신규 회원가입을 한 날부터 적용됩니다.

※ K-패스 카드 신규 발급자도 4.24~4.30일 간 알뜰교통카드에 회원가입 후 회원 전환을 거쳐 알뜰교통카드 혜택과 K-패스 혜택을 모두 적용받을 수 있음

알뜰교통카드 VS K패스 비교

 

2. K패스 신청방법

 1) 4월 24일~30일 사전신청기간에는 10개 협업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국민, 농협, BC(BC바로, 광주은행, IBK기업은행, 케이뱅크),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DGB유페이, 이동의 즐거움(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모바일교통카드)

 2) 시행일 5월 1일 이후에 신청시에는 누리집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3. K패스 전환방법

 (알뜰교통카드 => K패스 전환)

 1)개념 : K패스 전환은 알뜰교통카드 폐지 후 변경하는 절차로 후속 서비스인 K패스로 변경하는 절차입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단점 이었던 매번 승하차시 도착, 출발 버튼 누르던 번거로운 절차가 해소가 됩니다.

알뜰교통카드를 이미 가지고 계신 경우 별도의 카드 발급이나 회원가입 없이 간단한 전환 절차만 거치면 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앱이 있는 경우에는 4월 30일까지 K패스 메뉴전환을 하신 후 5월 1일에 K패스 앱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합니다. (그전에 전환 필수!)

 

2) 전환절차

  •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K-패스 전환 메뉴를 통해 전환 신청을 합니다.
  • 필수 정보 입력 및 본인 확인 절차를 완료합니다.
전환절차

 

K패스 교통카드는 총 10개의 카드사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참여하는 카드사별로 이용 실적에 따라 추가 혜택이 조금씩 다르므로 잘 비교 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카드 발급을 위한 자세한 내용은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신청 기간 초반에는 이용자 폭주로 카드 배송 지연, 서버 폭주 등의 불편함이 예상됩니다.

알뜰교통카드의 기능이 조금 더 보완돼서 K패스가 출시되었습니다. 요즘 대중교통요금의 인상으로 부담되는비용을 절감하고 조금 더 많은 혜택을 받으시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