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짜배기 생활 정보

2024년 새해 새로워지는 정책정보

by 원프로플러스 2024. 1. 4.

2024년 갑진년 청룡의 해, 새해 달라지고 새로워지는 정책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정책변화

 

1. 육아정책

1) 육아수당

우선 0살(생후 0∼11개월) 아동이 있는 가구에 지급되는 부모급여가 올해 70만 원에서 내년 100만 원으로, 1살(12∼23개월) 아동 가구 지급액은 35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은 이 액수에서 보육료 바우처만큼을 뺀 금액을 현금으로 받습니다. 첫 만남이용권(출생 시 첫째 아이 200만 원·둘째부터 300만 원 일시금)과 아동수당(월 10만 원)은 부모급여와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2) 6+6 부모육아휴직제 시행

맞돌봄 문화 확산을 위한 ‘3+3 부모육아휴직제’가 ‘6+6’으로 확대 개편됩니다. 생후 18개월 내 자녀를 둔 부모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첫 6개월간 부모 각각 육아휴직 급여가 상향 지급돼 부부 합산 최대 39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최저임금액 인상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이 시간급 9860원으로, 2023년 보다 2.5% 인상됩니다. 주 40시간(월 209시간) 기준 월 환산액은 206만 740원으로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면 고용형태나 국적과 관계없이 모두 적용됩니다.

 

3. 금융제도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전세대출도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금융사를 방문하지 않고 스마트폰으로 클릭 몇 번이면 더 싼 이자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게 됩니다. 대환대출 인프라가 아파트 주담대와 전세대출로 확대되면서 소비자는 영업점 방문 없이 대환대출을 신청하고 신규대출 실행 즉시 대출이동이 완료되는 등 보다 편리한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 해질 전망입니다.

 

4. 워라밸 일자리 장려금(실근로시간 단축제) 시행

사업장 전체의 주 평균 실근로시간(소정근로+연장근로시간)을 2시간 이상 단축한 사업주를 대상으로 워라밸 일자리 장려금을 지원합니다. 장려금 액수는 지원 인원 1인당 월 30만 원으로, 지원 대상 근로자의 30%(최대 100명)까지 지원합니다.

 

5. 청년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34세 이하 청년이 국가기술자격시험에 응시하는 경우 응시료의 50%를 지원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종목이 대상이며, 1인당 연 3회 한도로 지원합니다.

 


6. 국민내일 배움 카드 지원대상 확대 

기존에는 연 매출 1억 5000만 원 미만 자영업자에 대해서만 국민내일 배움 카드를 발급했지만, 1월부터 연 매출 4억 원 미만 자영업자까지 발급합니다. 특수고용형태종사자에 대해서도 발급 기준을 3개월 월평균 300만 원 미만에서 500만 원 미만으로 늘린다고 합니다.

 

7.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 전면 확대 시행

건설 근로자가 전자카드로 출퇴근 기록을 남겨 퇴직공제부금 신고 누락을 막는 전자카드제가 1월 1일부터 모든 퇴직공제 가입대상 건설공사(공공 1억 원, 민간 50억 원 이상)로 전면 확대 시행됩니다. 3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공사 또는 카드 단말기 설치가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현장은 모바일 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8. 워라밸 일자리 장려금(실근로시간 단축제) 시행

사업장 전체의 주 평균 실근로시간(소정근로+연장근로시간)을 2시간 이상 단축한 사업주를 대상으로 워라밸 일자리 장려금을 지원합니다. 장려금 액수는 지원 인원 1인당 월 30만 원으로, 지원 대상 근로자의 30%(최대 100명)까지 지원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년 신설 신생아 특례대출 정책 정보

새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신혼·출산 부부 및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주택 공급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특히 출산율이 떨어지는 현상을 막기 위한 정부의 주택구매자금 대출용도로 신

oneproplus.com

 

반응형